분류 전체보기 (7) 썸네일형 리스트형 token authentication is enabled 에러 해결 방안 $ jupyter notebook list 쉘 창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열려있는 주피터 서버 확인 해당 주피터 서버의 token값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됨 ! 하지만 token값이 없는 경우 $ jupyter notebook password 를 통해 새로운 토큰 값 생성 Enter password(비밀번호 설정)와 Verify password(비밀번호 재확인) 동일하게 입력하여 비밀번호 설정 [NotebookPasswordApp] Wrote hashed password to /home/user/.jupyter/jupyter_notebook_config.json 후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뜨면 설정 완료. 설정한 값을 넣어주세요 ! 혹시나 이것도 안된다 ?! https://eunseo429.tistory.. 우분투에 R 최신 버전 설치 및 R 버전 업그레이드 우분투에서 R 최신 버전 설치 방법입니다. 기존 R이 깔려져 있더라도, 다음 방법을 통해 R 버전을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. $ sudo apt update -qq # 필요한 두 헬퍼 패키지 설치 $ sudo apt install --no-install-recommends software-properties-common dirmngr # signing key 추가 $ wget -qO- https://cloud.r-project.org/bin/linux/ubuntu/marutter_pubkey.asc | sudo tee -a /etc/apt/trusted.gpg.d/cran_ubuntu_key.asc # CRAN에서 R4.0 repo 추가 $ sudo add-apt-repository ".. 우분투(Ubuntu20.04)에 Jupyter notebook 설치 및 Jupyter notebook 외부 접속 먼저, 주피터 노트북 설치입니다. 1. jupyter notebook 설치 python3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pip3 명령어를 사용해줍니다. $ pip3 install jupyter 2. 주피터 노트북 워킹 디렉토리 생성 pwd하여 현재 경로를 확인하여 복사해주세요. 추후 환경변수 설정 시 사용 예정 $ mkdir Jupyter $ cd Jupyter # 현재 경로 확인 $ pwd 3. 주피터 노트북 설정 파일 생성 # 홈 디렉토리로 먼저 이동 $ cd .. # 홈 디렉토리에서 생성합니다. $ jupyter-notebook --generate-config 4. 주피터 노트북 비밀번호 생성(외부 접속을 대비함입니다.) # ipython 실행 $ ipython # 비밀번호 생성 from motebook.a.. Django Rest Framework 1. REST API, RESTful API란 무엇일까요 ? REST API(RESTful API)란, REST아키텍처의 제약 조건을 준수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뜻한다. 이 때,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는 HTTP 프로토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아키텍처로, "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(이미지, 동영상, DB자원)에 고유한 URL을 부여해 활용하는 것"이다. 따라서 RESTful API는 REST의 특징을 지키면서 API를 제공하는 것이다.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란 ?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,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.. 배포 1. 웹 서버란 무엇일까요 ? 웹 서버(Web Server)는 HTTP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HTML문서나 오브젝트를 전송해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말한다. 2.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란 무엇일까요 ?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(Web Application Server, WAS)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서버 환경을 만들어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. 인터넷 상에서는 HTTP를 통해 사용자나 컴퓨터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(소프트웨어 엔진)로 볼 수 있다.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와 구별되며,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된다.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 -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접속 기능 제공 .. DataBase Modeling Data Modeling이란? - 쉽게 말해 현실의 세계의 개체에서 컴퓨터의 세계의 데이터로 바꾸는 것이다. 이것은 3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. ①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→ ②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→ ③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①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: 개념적으로 개체를 이해하고, 어떤 자료가 중요하며 어떤 자료가 유지되어야 하는지 결정하는 내용도 포함한다. 핵심 엔터티와 그들간의 관계를 발견하고,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 ER model을 생성하는 과정이다. 개체 → 개념적 - 발이 4개 - 긴 코 - 몸무게 1톤 이상 등 개체(코끼리)를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.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표현할 때에는 주로 ER model(Entity-Relationship model)을 사용한다. 이것은 향후 데이터.. DataBase 개념 및 쿼리 사용법 1. 데이터베이스(DB) 및 DBMS 데이터베이스(DB) :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하여 통합,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 출처 -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D%B0%EC%9D%B4%ED%84%B0%EB%B2%A0%EC%9D%B4%EC%8A%A4 - 사용자들 혹은 프로그램들 간에 공유되어야 하는 정보들이며, - 하나의 통제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공유 - 데이터 유형(not exclusive) 통합된 데이터(Integrated Data):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저장된 데이터(Stored Data):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운영 데이터(Operational Data):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존재 가치가 .. 이전 1 다음